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이 최근 서울 중구 본사에서 열린 '2025 신한 쉬어로즈(SHeroes) 컨퍼런스'에서 여성 리더들에게 당부한 말이 화제다. 그는 “여성이라는 틀을 깨고 신한의 중심에서 솔선수범하는 진정한 리더로 성장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언뜻 보면 매우 긍정적이고 시대 흐름에 부합하는 메시지다. 하지만 신한카드 내부 현실은 이 메시지와 심각한 괴리를 드러내고 있다. 신한카드 임원진 17명 중 여성 임원은 단 2명(11%)뿐이며, 전체 직원 중 여성 비율은 44%에 이른다. 문제는 이들이 남성 직원보다 평균 9개월 더 오래 근무하지만, 급여는 연간 2,400만 원이나 더 적다는 점이다. 이런 현실에서 과연 여성 직원들이 ‘여성이라는 틀’을 스스로 깨고 리더로 성장할 수 있을까 의문이다. 이러한 겉과 속이 다른 모습은 2018년 신한카드의 성차별적 채용 논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신한카드는 신입사원 채용 과정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여성 지원자 92명을 부당하게 탈락시켜 법원으로부터 벌금형을 처벌 받은 바 있다. 조직 차원의 뿌리 깊은 성차별 관행이 드러난 대표적 사례이기도 하다. 결국 신한금융이 진정으로 원하는 여성 리더십과 다양성 존중은
언론 통합 플랫폼이자 인터넷신문사 제보팀장을 운영 중인 더에이아이미디어는 2월 28일 NZSI INDEX 기반 시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2025년 2월 28일, 한국 증시는 미국 지수의 최근 하락을 반영하며 폭락했다. 코스피 지수는 3.39% 내린 2,532.78, 코스닥 지수는 3.49% 하락한 7434.96으로 마감하며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거래대금은 코스피 11조 원, 코스닥 8조 원으로 소폭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시가총액은 코스피 2,058조 원, 코스닥 372조 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글로벌 증시는 크게 반등하였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39% 상승한 43,840.91포인트로 마감했으며, 나스닥 종합지수는 1.63% 오른 18,847.28포인트를 기록하였다. 그 동안의 큰 하락에 대한 반발 매수가 나온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NZSI INDEX는 1.39% 하락하며 1,052.91포인트로 마감되었으며, 이는 8일 연속 하락세가 지속된 것이다. 지수 도입 후, 한국 시장에 편입된 8개 종목은 평균 5.02% 상승, 글로벌 증시에 포함된 12개 종목은 평균 4.27% 상승하며 한국 시장과 글로벌 시장 간의 상승률 격차가 크게 좁
더불어민주당 이병진 의원(평택을)은 27일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평택지제역세권 등 신도시 토지 양도소득세 감면을 확대하는 조세특례제한법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이병진 의원은 지난해 9월 10일, 양도소득세 감면 비율을 각각 현금보상 60%, 채권보상 65%, 대토보상 80%로 상향하고, 양도소득세 감면 종합한도를 과세기간별 3억 원 또는 5개 과세기간 5억원 중 큰 금액으로 상향하는 조세특례제한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27일 국회에서 통과된 조세특례제한법은 국회의원들이 각각 대표 발의한 56건의 법안을 여야 합의를 거쳐 위원회 대안으로 성안돼 현금보상, 채권보상, 대토보상이 각각 5% 상향되는 것으로 결정됐다. 종합한도는 1년 간 1억원에서 2억원으로, 5년간 2억원에서 3억원으로 상향됐다. 기존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르면, 정부는 신도시 건설 등 공익을 목적으로 시행하는 사업의 경우, 토지보상법에 따라 강제수용 등의 방식으로 토지를 취득할 때 현금보상 10%, 채권보상 15%, 대토보상 40%의 양도소득세를 감면, 종합한도는 과세기간별 1억원 또는 5개 과세기간 2억원 중 큰 금액으로 했다. 그러나 보상금이 종전의 생활을 이어가기에는 부
언론 통합 플랫폼이자 인터넷신문사 제보팀장을 운영 중인 더에이아이미디어는 2월 27일 NZSI INDEX 기반 시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2025년 2월 27일, 한국 증시는 전일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다시 하락세로 전환되었다. 코스피 지수는 0.73% 내린 2,621.75, 코스닥 지수는0.07% 하락한 770.85로 마감하며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거래대금은 코스피 10조 8천억 원, 코스닥 8조 원으로 전일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시가총액은 코스피 2,131조 원, 코스닥 385조 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글로벌 증시 급락… 나스닥 2.78% 폭락, 반도체 업종 직격탄 글로벌 증시는 크게 하락하며 시장 전반의 투자심리가 위축되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45% 하락한 43,239.50포인트로 마감했으며, 나스닥 종합지수는 2.78% 폭락한 18,544.41포인트를 기록하며 시장 충격을 키웠다. 나스닥 폭락의 주요 원인은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6.09% 급락하며 반도체 업종 전반이 크게 하락한 데 있다. 엔비디아(NVIDIA), AMD, 브로드컴(Broadcom) 등 반도체 대장주들이 급락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되었고, 반도체 산업
언론 통합 플랫폼이자 인터넷신문사 제보팀장을 운영 중인 더에이아이미디어는 2월 26일 NZSI INDEX 기반 시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2025년 2월 26일, 한국 증시는 상승세로 전환되었다. 코스피 지수는 0.41% 오른 2,641.09, 코스닥 지수는 0.26% 상승한 771.41로 마감하며 최근 조정세를 벗어나는 흐름을 보였다.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투자 심리가 개선된 점이 지수 반등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거래대금은 코스피 10조 8천억 원, 코스닥 8조 원으로 전일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시가총액은 코스피 2,147조 원, 코스닥 386조 원으로 소폭 증가했다. 글로벌 증시는 전일에 이어 혼조세를 나타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43% 하락한 43,433.12포인트로 조정을 이어갔지만, 나스닥 종합지수는 0.26% 상승한 19,075.26포인트로 전일 하락세를 마무리하고 반등에 성공했다. 나스닥이 상승 전환한 것은 AI 및 반도체 업종 일부가 회복세를 보인 것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최근 연속 하락했던 엔비디아와 AMD, 브로드컴 등이 저가 매수세 유입과 함께 반등을 시도하며 기술주 투자 심리가 다소 회복되는 모습이
언론 통합 플랫폼이자 인터넷신문사 제보팀장을 운영 중인 더에이아이미디어는 2월 25일 NZSI INDEX 기반 시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2025년 2월 25일, 한국 증시는 전일에 이어 하락세를 이어갔다. 코스피 지수는 0.57% 내린 2,630.29, 코스닥 지수는 0.50% 하락한 769.43으로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가 지속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되었고, 주요 대형주와 성장주가 조정을 받았다. 거래대금은 코스피 10조 5천억 원, 코스닥 8조 원으로 전일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시가총액은 코스피 2,139조 원, 코스닥 385조 원으로 감소하며 최근의 조정세가 시가총액에도 영향을 미치는 모습이었다. 글로벌 증시는 전일에 이어 혼조세를 보였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37% 상승한 43,621.16포인트로 소폭 반등했으나, 나스닥 종합지수는 1.35% 하락한 19,026.39포인트로 4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하락은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관련주들의 조정과 연준의 금리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2.29% 하락하며 엔비디아, AMD, 브로드컴 등 주요
LG CNS가 공모가 6만1900원에 상장한 후 1주당 1,672원, 총 1,458억 원의 배당 소식이 전해지는 가운데 공모주 청약에 참여한 신규 주주들은 배당에서 배제되고 주가 마져 공모가 대비 2월 28일 종가 기준 22% 하락하고 있어 허탈감에 울상짓는 소외주주 신세가 됐다. 배당 기준일 2024년 12월 30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주주들이 배당을 받게 되는 것이고, 공모를 통해 상장 이후 새롭게 주식을 받은 투자자들은 이번 배당 대상에서 제외된 것이다. 문제는 공모주 청약을 통해 주식을 어렵게 배정받은 투자자들은 “ 주가가 공모가 낮게 내려가고 심지어 배당 발표 이후 주가는 19% 이상 하락하고 있다는데 있다. 배당도 못 받았는데 주가는 더 떨어지니 헐탈감이 든다는 것이다. ◆ "배당은 기존 주주 몫"… 공모주 투자자들은 다음 기회에? 이번 배당은 기존 주주인 LG(52.3%), 맥쿼리인프라 자산운용이 설립한 크리스탈코리아(35.0%), 일부 소액주주(12.6%), 우리사주조합(1.1%) 등이다. 공모주 청약을 통해 LG CNS 주식을 손에 넣은 ‘투자자’들은 이번 배당에는 해당이 안돼고 배제된 것이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이번 배당은 2024
언론 통합 플랫폼이자 인터넷신문사 제보팀장을 운영 중인 더에이아이미디어는 2월 24일 NZSI INDEX 기반 시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2025년 2월 24일, 한국 증시는 하락세로 돌아섰다.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0.35% 내린 2,645.27, 코스닥 지수는 0.17% 하락한 773.33으로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와 중소형주 모두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지수에 하방 압력이 가해졌다. 거래대금은 코스피 10조 8천억 원, 코스닥 8조 원으로 전일과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으며, 시가총액은 코스피 2,151조 원, 코스닥 386조 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글로벌 증시는 혼조세를 나타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08% 상승한 43,461.21포인트, 그러나 나스닥 종합지수는 1.21% 하락한 19,286.93포인트로 3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연속 하락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된 모습이다. NZSI INDEX는 1.67% 하락하며 1,083.36포인트로 마감됐으며, 이는 4일 연속 하락세로 최근의 하방 압력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 시장에 편입된 8개 종목은 평균 8.94% 상승, 글로벌 증시에 포함된 12개 종목은 평균
LG그룹 후계 구도를 둘러싼 논란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경찰이 구본능 희성그룹 회장을 특수절도 혐의로 소환 조사하면서, 구광모 LG그룹 회장의 경영 승계 과정에 대한 의혹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특수절도 혐의로 5시간 조사… 경영권 분쟁 불씨되나 서울 마포경찰서는 지난 16일 구본능 회장을 피고발인 신분으로 불러 5시간 동안 조사했다고 뉴스토마토가 20일 보도했다. 앞서 경찰은 하범종 LG 경영지원부문장(사장)도 같은 혐의로 조사한 바 있다. 이번 조사는 고(故) 구본무 LG그룹 회장의 유족, 김영식 여사와 구연경 씨 등이 지난해 9월 경찰에 고발장을 접수하면서 시작됐다. 유족 측은 구본능 회장과 하 사장이 구본무 회장 별세 직후 LG트윈타워와 곤지암 별장의 금고를 강제로 열어 내용물을 가져갔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해당 금고에는 유언장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경영 승계와 관련한 고 구본무 회장의 의지를 왜곡하려 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유언장과 경영권 승계의 연관성 세 모녀 측은 “구본능 회장과 하 사장이 유고 직후 금고를 손괴하고 내부 문서를 가져간 것은, 그 안에 경영 승계를 뒤집을 내용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고 구본무 회
삼성생명이 삼성화재를 자회사로 편입하겠다고 선언한 순간, 금융권에선 웅성웅성 소리가 터져 나왔다. ‘이건 그냥 주가 방어용이다’라는 해석과 ‘아니지, 이건 금융지주로 가기 위한 빅픽쳐야’라는 분석이 팽팽하게 맞선다. 단순히 삼성화재의 주가를 띄우려는 움직임이라 보기엔 너무도 절묘한 타이밍. 과연 이번 수(手)는 의도된 한 수일까, 아니면 정말 ‘우연히’ 찾아온 기회일까? "어쩔 수 없었다고요?" 삼성생명의 선택, 다른 길도 있었다 삼성생명은 삼성화재 지분을 14.98% 들고 있다. 그런데 삼성화재가 자사주 소각을 진행하면, 이 비율이 17.8%까지 자동으로 올라간다. 문제는 여기서 시작된다. 보험업법상 다른 보험사 지분을 15% 이상 보유하려면 금융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그래서 삼성생명은 “이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항변한다. 그런데 정말일까? 사실 선택지는 하나 더 있었다. 지분율이 15%를 넘지 않도록 삼성화재 주식을 조금 팔면 된다. 그런데도 굳이 금융위 승인 절차를 밟아가며 자회사로 편입하려 한다? 이걸 단순한 ‘주주가치 제고’로만 보긴 어렵다. 마치 장기판에서 일부러 말을 희생시키며 더 큰 판을 노리는 수처럼 보인다. 삼성의 지배구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