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동계 사료작물의 생육이 가장 왕성한 4월 상순부터 5월 중순까지의 기상조건에 따라 조사료 생산성이 크게 좌우되는데, 최근 중부지역에서 4월 가뭄현상이 심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고 말했다.특히, 남부지역의 경우 가뭄이 심하지 않으나 중부지역은 가뭄이 오래 갈 수 있어 가뭄이 심한 지역에서는 조사료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관수를 해줘야 한다.동계 사료작물의 사일리지 조제를 위한 수확적기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출수후기∼개화기, 호밀은 개화기∼유숙기, 청보리는 호숙기∼황숙초기이다.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생산성은 크게 높아지고 사료가치는 약간 줄어 벼 이앙에 지장이 없는 한 개화기에 이르러 수확하는 것이 좋다.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수확시기별 ha당 건물수량을 살펴보면 수잉기 4.8톤, 출수기 7.2톤, 개화기 9.6톤으로 2배 정도 차이가 나는 반면 사료가치를 나타내는 총가소화영양분(TDN)은 수잉기 68.7%, 출수기(66.3%), 개화기(62.3%)로 약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동계 사료작물은 대부분 사일리지로 수확해 이용하는데, 사일리지 제조시 적정 수분함량은 60∼65% 정도로 품질이 우수한 사일리지를 만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논에서 사료용 옥수수를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요령을 소개했다.사료용 옥수수는 여름철 대표적인 사료작물로서 생산량이 많고 영양분이 풍부하며, 동계사료작물과 연계해 연중 생산이 가능하다.하지만 옥수수를 논에 재배하면 습해를 받기 쉽고 토양 물리성이 나빠 수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논 재배에 적합한 재배 관리와 품종 선택이 중요하다.사료용 옥수수를 논에 재배할 때에는 파종 전 트랙터에 심토파쇄기를 부착해 땅속 30∼40cm 깊이로 갈아주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토양의 물리성을 좋게 하여 건물수량이 24% 까지 많아진다.또한 옥수수는 습해에 약하므로 비가 많이 와도 24시간 이내에 배수가 가능한 논을 선택하고 이랑을 만들어 습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재식 밀도는 밭 재배 기준인 10a당 6,600주보다 적은 6,000주 내외로 하면 옥수수의 쓰러짐을 줄일 수 있다.사료용 옥수수 논 재배는 재배기술과 더불어 논에 잘 적응하는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광평옥’ 은 현재 많이 재배되고 있는 수입종(P3394) 보다 논 재배 시 건물 생산량이 많고 수확기 이후 늦게까지 잎이 마르지 않는 장점이 있다.‘광평옥’ 종자 신청은 시·군 농
“낙농목장을 돈 벌게 하는 제품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여름철에도 유량이 떨어지지 않고, 송아지도 잘 들어서는 아무 걱정 없는 목장을 만들기 위해 탄생했습니다”CJ제일제당 동물생명연구소 최병양 박사는 낙농 신제품 ‘밀크젠’ 개발 배경에 대하여 이렇게 밝혔다. “착유사료를 어떻게 만들까에 대해 수년간 고민하며 준비했고, 현장에서 답을 찾았습니다”라며 또한“CJ 만의 기술력으로 아무 문제없이 1년 12달 농가에서 강하고 사용하시기 편한 사료를 만들고자 했습니다”라고 전했다. 또 낙농목장의 순수익을 지금보다 높이겠다는 목표 아래 2014년 유대체계 변경에 따른 낙농농가의 니즈를 최대한 반영했다.출시 이후 농가들의 호평을 받는 ‘밀크젠’ 제작에 대한 에피소드에 대해 최 박사는 “처음 아이디어를 내놨을 때 함께 연구하는 동료들조차 제품화에 난색을 표하며 혀를 내둘렀어요”라며 “여러 대의 폭기 기계를 구입해 미생물을 종류별로 배양시키는 과정에서 ‘여기가 수족관이냐? 양조장이냐?’는 말도 들었습니다”라고 회고했다. 또 “젖소에게 가장 유익하고 안전한 미생물을 찾아내는 작업이 힘들었는데, 찾아낸 후 낙농현장 적용까지 너무도 긴 시간을 보내야 했어요”라고 전했다. 또한 “여러
천하제일사료(총괄사장 윤하운)의 국내 낙농 산업 발전을 위한 움직임이 새해에도 활발하다.지난 3월 천하제일사료는프랑스 최고의 축산전문 기업인 In Vivo(인비보)의 낙농 전문가를 초청하여 26일부터 28일까지 3일에 걸쳐 ‘전국 순회 사양가 회의’를 개최했다.남원을 시작으로 마산,이천에서 진행 된 이번 행사는 사양가들의 큰 호응을 이끌어 냈다.국내외적으로 어려움이 따르는 축산 현실 속에서도 ‘천하제일과 함께하면 성공할 수 있습니다’라는 가치 실현을 위해 고객 성장을 위한 발걸음을 꾸준히 내딛고 있는 것이다.이번에 강사로 초청 된 인비보의 낙농 전문가 니콜라 시리에르는 최근 프랑스의 낙농 트렌드와 구조 등을 설명 했으며,특히 목장의 유생산량을 제한하는 ‘쿼터 시스템’ 종료 후의 변화에 대한 내용은 회의에 참여한 사양가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니콜라 박사는 고능력우 사양을 위한 팁으로 “육성우 사양관리에 특별히 신경 쓸 것을 강조하며 특히 6개월 이전의 사양 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는 한편 소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한 이슈로 언급하기도 했다.또한 “유전 능력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상황에서 대사성 질병을 예방하고 연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밀
천하제일사료(총괄사장 윤하운)는 지난 3월 21일 인천광역시 하얏트 리젠시 호텔에서 ‘인천사업부 통합 대리점 회의’를 개최했다.그 동안AI와 PED의 여파로 미뤄졌던 이 날 행사는 축하와 신뢰를 공유하는 한편 인천사업부의 새로운 희망에 함께 도전하는 자리로 꾸며졌다.먼저 거래처 개척과 활발한 판매활동 등 2013년 주요 활동 요약을 통해 지난 한 해를 정리했으며,올 해도 변함없이 고객의 생산성 향상과 실증을 통해 ‘고객 성공’실현을 다짐했다.행사를 주관한 인천사업부 이명준 사업부장은 2014년 상반기 활동 방향 발표를 통해“현장경영을 중심으로 한 활동 강화를 통해 도약을 이루자”며 “품질,설비,물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안정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고객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현장/활동/실증/확산’과 ‘사전주문의 획기적 개선’ 등을 통해 고객의 요구에 부흥하고 시장의 변화를 주도함으로써 차별화를 이룰 것이라 밝혔다.천하제일사료 윤하운 총괄사장은 격려사를 통해 최근 판매량 신장에 대한 감사를 표하며,앞으로도 성공 고객의 실증을 바탕으로 강력한 판매활동을 이어나갈 것임을 밝혔다.또한 “천하제일의 업계 1위 달성은 탁월한 경영과 이 자리에 모인 모두의
우성사료가(대표이사 지평은) 낙농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고능력 슈퍼카우 육성을 위한 ‘하이브리드’ 프로그램을 새롭게 선보였다. FTA로 개방화되어가는 시장에서 낙농가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강건한 밑소를 바탕으로 고능력 슈퍼카우를 육성하는 것이 관건이다. 슈퍼카우의 육성은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사양관리를 통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일본수의생명과학대, 오비히로축산대와 기술협약을 통하여 연구 개발한 하이브리드 고능력 육성우 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개량되는 후보축의 유전적 능력을 최대한 발현시키기 위해 ‘영양유전체학’을 도입하여 송아지를 더 크고 튼튼하게 육성하고, 번식능력과 산유능력을 갖춤은 물론 비유기에 유량도 증가시켜 고능력우를 넘어 슈퍼카우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제품중 ‘하이브리드 전환기’는 젖소의 일생에서 가장 중요한 분만 전/후 3주간 급여하는 프로그램으로 비유초기 건물섭취량 감소에 따른 체지방, 체단백질 동원 최소화, 뼈 및 소화관으로부터의 칼슘 동원 및 흡수 능력 촉진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번 제품을 기획한 박정근 PM은 “육성기, 전환기의 철저한 사양관리를 통해서만, 낙농 선진국 5.5산에 매우 뒤처져 있는 2.5산의 우리나라 젖소
천하제일사료(총괄사장 윤하운)의 성공 스토리가 국내를 넘어 중국 시장에서도 실현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올 해로 창사 52주년을 맞이하는 천하제일사료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한 최고 품질의 사료 생산으로 ‘고객 성공’이라는 가치 실현을 위해 노력해오고 있다.그 결과 명실공히 업계를 선도하는 기업으로써 자리매김했으며, 꾸준한 성장세와 생산량이 이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 지난 2월 21일 천하제일사료의 두 번째 중국 공장인 ‘하림요성유한공사(총경리 김창수)’의 대리점사업전진대회가임직원 및 대리점 관계자,사양가 등 260여 명이 참여한가운데 중국 현지 산동성 요성시 창윤(昌潤, Chang Run) 호텔에서 개최됐다. 이날 행사를 주관한 요성공장 김창수 총경리는 개회사를 통해 고객중심의 경영사상과 식품 안전에 대한 52년 경험을 바탕으로 중국 시장에서도 고객 성공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또 한국의 선진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를 넘어 중국 축산업의 발전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끊임없는 기술 개발과 보급을 통하여 국내 축산업 발전에 기여해 온 천하제일사료는 중국 시장에서도 최고의 고객 생산성 달성을 통해 성공
신제품 발표회의를 마치고 우성사료 직원들이 한우 산업의 발전을 기원하며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점차 개방화되어가는 FTA 시대에 한우 농가가 생존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지속해서 개량되는 한우의 유전적 잠재능력을 영양학적으로 뒷받침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소득증대를 통해 안정적인 사육 기반을 유지하여야 한다. 우성사료가(대표이사 지평은) 국내외 어려운 축산환경 속에서 안정적인 한우 산업의 기반을 다지고 농가의 소득증대를 위해 ‘한우맘’ 번식우 프로그램을 새롭게 선보였다. 우성사료의 46년 사료기술 노하우를 토대로 축산과학원, 일본 수의 생명과학대와 함께 연구 개발한 한우 번식우 프로그램 한우맘은 ‘후성 유전학’ 이론을 새롭게 도입하여 어린 송아지의 면역력을 키워 폐사율을 감소시키고, 육성우에게 가장 중요한 반추위의 용적 발달과 골격 형성을 촉진해 강건한 밑소를 만드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후 최적의 영양밸런스를 통해 임신우의 분만간격을 줄이고 포유암소의 포유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번 제품을 기획한 우성사료 박정근 PM은 “고급육 생산의 시작은 암소의 개량과 송아지 육성에 있다. 중요성을 잃어 가고 있는 번식우 산업에 많은 관심을
이지바이오(대표이사 김지범)는 지난 3월 25일 서울 엘타워에서 ‘Format User Group Meeting’을 성황리에 개최하였다. 이지바이오는 1989년에 대한민국 최초로 최소원가 배합비(Least cost Formula)의 최적화(Optimization) 프로그램인 영국의 포맷시스템을 국내의 사료업계에 소개한 바 있는데, 현재 국내 90% 이상의 사료회사에서 포맷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지금까지도 지속적인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프로그램 사용과 동시에 3~5%의 원료비 절감을 실현하고 있다. 이날 행사는 영국의 Format International사의 프로그램 개발자인 Mr. Ian Mealey을 초청하여 Format NCTM 프로그램의 최신 버전 및 유용한 팁에 관한 소개와 차세대 배합비 프로그램인 Format iNDIGOTM 에 대한 연구개발 현황을 소개하였고, 배합비 담당자간의 논의를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와 활용도를 높이는 기회를 가졌다.이날이지바이오와 Format International사는 지속적인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와 팁의 개발 그리고 실시간 서비스 제공을 약속하면서 세미나를 마쳤다.
카길사료(대표 이보균)는 지난 3월 20일 충주시 주덕농협에서 영농조합법인 충주한우협회(대표 이상배)와 의미 있는 사료공급협력 조인식을 가졌다. 이번 전략적 조인식을 통해 양사는 서로 사업적으로 협력하여 안으로는 충주 한우농가들에게 경쟁력 있는 한우사업의 기반을 제공하고, 나아가 경쟁력 있는 한우사업을 만들어 갈 것으로 기대된다. 신현민 카길사료 전략판매부장은 정부의 등급판정 제도 변화와 수익성이 떨어지는 한우 C등급 출현의 급격한 증가를 주위 깊게 볼 필요가 있으며 농가의 수익성 증대를 위해 체계적인 경영관리가 시급하다고 강조하였다. 김순호 카길사료 지역부장은새로운 한우성장 모델을 적용한 신제품 ‘카길 한우설화’ 사료와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최신 기술을 접목한 3단계 급여프로그램으로거세우도체중을 생후 28개월 420kg이상, 1+등급이상 출현율 70%로 충주 한우 농가의 수익성을 증대 시켜줄것이라 설명하였다. 이덕용 카길사료 본부장은 ‘한우산업의 허브로 성장하고 있는 충주 한우 협회와 동물 영양 전문인 카길사료가 서로 협력하여 비전과 사업적인 성공을 창출하는 시발점이라고 확신하며 큰 책임감을 갖고 맡은 바 최선의 역할을 다 할 것이라 약속한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