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1 (금)

  • 맑음동두천 10.0℃
  • 맑음강릉 9.3℃
  • 맑음서울 11.3℃
  • 맑음대전 10.9℃
  • 맑음대구 12.3℃
  • 맑음울산 11.5℃
  • 맑음광주 10.8℃
  • 맑음부산 13.2℃
  • 맑음고창 5.0℃
  • 맑음제주 10.7℃
  • 맑음강화 6.6℃
  • 맑음보은 8.4℃
  • 맑음금산 8.7℃
  • 맑음강진군 10.2℃
  • 맑음경주시 8.7℃
  • 맑음거제 13.6℃
기상청 제공

농식품부, 2022년산 공공비축 쌀 45만톤 매입 추진

매입량 확대하고 매입 시기 앞당겨 10만 톤 조기 시장격리 효과 기대

농식품부가 연말까지 올해산 쌀 45만톤을 공공비축용으로 매입한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지난달 30일 국무회의에서 ‘2022년 공공비축미 매입계획’이 확정된 데 따른 조치다. 오는 11월 30일까지는 10만톤을 산물벼(수확 후 건조하지 않은 벼) 형태로 매입하고, 10월 11일부터는 포대벼(수확 후 건조·포장한 벼) 형태로 35만톤을 사들인다.

 

농식품부는 2017년 이후 공공비축 쌀을 매년 35만톤씩 매입해왔는데 올해는 이보다 10만톤 많은 물량을 사들인다. 이는 2007년 이후 가장 많은 매입량이다. 

 

아울러 평년보다 2~3주 이른 시기에 매입하는 만큼 올해산 쌀 10만톤을 시장에서 조기에 격리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농식품부는 기대했다.

 

매입가격은 통계청에서 10월 5일~12월 25일 기간에 10일 간격으로 조사한 산지 쌀값의 평균 가격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농식품부는 올해산 공공비축미 매입 예산을 1조원가량 편성해 둔 상태다.

 

농업인은 공공비축미 출하 직후 포대(40kg)당 3만원의 중간정산금을 받고 나머지 금액은 매입가격이 확정된 후 연내 받는다.

 

매입대상 벼 품종은 각 시군에서 2개 이내로 지정했다. 지정된 품종 이외의 품종으로 공공비축미를 출하한 농업인은 5년간 공공비축미 매입대상에서 제외된다. 
 

 농식품부는 “공공비축 쌀 45만 톤을 전량 안정적으로 매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매입 기간 확대, 산물벼 매입 등 농가 편의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한편, 기상 상황 등을 고려하여 2022년 쌀 수확기 대책을 선제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