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합동조사에서 최초 발견지로 부터 시메트 균열부위를 따라 20m 간격을 두고 추가 2개 지점에서 발견돼 전체적으로 3개 지점에서 애벌레를 포함한 일개미 700여 마리가 발견됐다.
유입시기는 최초 발견지점 조사결과를 볼 때 결혼비행한 여왕개미가 컨테이너에 부착되어 지난해 가을쯤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수개미·여왕개미와 그 유충 등 번식이 가능한 불개미 개체가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아직 초기단계의 군체인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최초 발견지 조사결과 군체에 번식 가능한 공주개미, 수개미 등이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아직 확산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이나 인근 추가 발견지 군체 조사결과를 보아야 보다 정확하게 판단 가능하다고 밝혔다.
정부는 예찰방제 매뉴얼에 따라 각 부처의 역할을 확인하고 향후 관계부처 및 외부전문가와 합동으로 방제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검역본부는 발견지점 정밀조사 및 주변에 예찰트랩을 현재 60개에서 260개로 늘려 추가 설치하고 평택한에 임시적으로 검역인력을 추가배치해 철저한 조사를 실시키로 했다.
또한, 발생지역 주변(200m×200m 격자)에 있는 컨테이너에 대해서는 반출 전 철저한 소독을 실시하고 야적장에 대해서는 추가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더불어 해양수산부는 부두내 환경정리, 방제구역내 컨테이너 이동통제, 관련선사 대상 붉은 불개미에 대한 신속한 신고요청 및 홍보를 추진하며 환경부는 항구 인근지역에 대한 예찰·방제를 강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