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5 (토)

  • 흐림동두천 6.1℃
  • 흐림강릉 13.9℃
  • 서울 7.9℃
  • 대전 10.0℃
  • 흐림대구 15.3℃
  • 구름많음울산 14.7℃
  • 광주 13.3℃
  • 흐림부산 14.1℃
  • 흐림고창 9.5℃
  • 흐림제주 16.7℃
  • 흐림강화 7.2℃
  • 흐림보은 9.3℃
  • 흐림금산 11.5℃
  • 흐림강진군 12.6℃
  • 흐림경주시 15.4℃
  • 흐림거제 13.7℃
기상청 제공

닭고기 생산 증가로 생체 kg당 육계 산지가격 1,372원 전망

[2022 농업전망] 산란계, 육계, 오리 수급동향과 전망

■ 산란계

 

일평균 계란 생산량, 사육 마릿수 늘어 전년비 5.4% 증가 4,594만개

∙2021년 평균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HPAI 발생으로 2020년(7,354만 마리) 대비 7.7% 감소한 6,785만 마리로 추정된다. 2021년 평균 계란 산지가격은 가정 내 계란 수요가 늘고 생산량이 감소하여 2020년(1,106원) 대비 62.5% 상승한 특란 10개 기준 1,797원이었다.

 

2022년 3월 기준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종계 및 실용계 병아리 입식 증가로 2021년 3월 (6,211만 마리) 대비 19.4% 증가한 7,418만 마리로 전망된다. 일평균 계란 생산량은 사육 마릿수가 늘어 2021년 대비 15.4% 증가한 4,594만 개로 전망된다.

 

2022년 평균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2021년(6,785만 마리) 대비 9.1% 증가한 7,401만 마리로 전망된다. 2022년 일평균 계란 생산량은 사육 마릿수가 늘어 2021년(4,192만 개) 대비 9.1% 증가한 4,575만 개로 전망된다. 2022년 평균 계란 산지가격은 생산량 증가로 2021년(1,797원) 대비 30.3% 하락한 특란 10개 기준 1,252원으로 전망된다.

 

■ 육계

 

닭고기 생산량은 도계 마릿수 감소로 63만 7천톤 예측

2021년 육계 사육 마릿수는 HPAI 발생으로 종계 사육이 줄어 2020년(9,756만 마리) 대비 1.0% 감소한 9,659만 마리였다.

사육 마릿수 감소로 2021년 도계 마릿수는 2020년(10억 7천만 마리) 대비 3.3% 감소한 10억 4천만 마리였다. 이에 따라 생계유통가격은 2020년 (1,118원/kg) 대비 26.8% 상승한 1,421원/kg이었다.

 

2022년 닭고기 생산량은 도계 마릿수 감소로 2021년(62만 9천 톤) 대비 1.3% 증가한 63만 7천 톤으로 전망된다. 닭고기 생산 증가로 2022년 생체 kg당 육계 산지가격(생계유통가격)은 2021년(1,421원) 대비 3.5% 하락한 1,372원으로 전망된다.

 

■ 오리

 

육용오리 사육 마릿수 증가 영향 산지가격 생체 3.5kg당 8,000원 내외 전망

2021년 평균 오리 사육 마릿수는 HPAI 발생으로 전년(868만 마리) 및 평년(876만 마리) 대비 각각 24.4%, 25.2% 감소한 656만 마리로 추정된다. 2021년 평균 오리 산지가격은 도압 마릿수 감소와 냉동재고 부족으로 전년(5,603원) 및 평년(6,069원) 대비 각각 78.7%, 65.0% 상승한 생체 3.5kg당 1만 원이었다.

 

 

2022년 평균 오리 사육 마릿수는 HPAI 피해가 컸던 전년(655만 마리) 및 평년(802만 마리) 대비 각각 23.1%, 0.5% 증가한 807만 마리로 전망된다. 2022년 오리고기 생산량은 오리 사육 마릿수가 늘어 2021년(9만 6천 톤) 및 평년(10만 9천 톤)보다 각각 19.8%, 5.5% 증가한 11만 5천 톤으로 전망된다.

2022년 오리 산지 가격은 육용오리 사육 마릿수 증가 영향으로 2021년 대비 하락한 생체 3.5kg당 8,000원 내외로 전망된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