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에 발생하는 관절염은 노인성 무릎 질환 중에서 대표적으로 손꼽히는 질환이다. 무릎 관절염은 무릎뼈를 보호하고 있는 골연골이 손상되며 진행된다. 증상이 악화될수록 다리가 바깥쪽으로 점점 벌어지거나 무릎뼈가 깎여나기도 하므로 가급적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좋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무릎 골연골이 손상되면 무릎에 통증이 지속되거나 반복되고, 무릎이 부어오르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갑자기 무릎에 힘이 빠지거나 무릎 관절이 뻑뻑해지기도 한다. 또한 골연골 손상으로 인해 뼈가 드러난 부위가 서로 충돌하기도 하는데, 이로 인해 다리가 점점 벌어지는 등 다리 모양에 변형도 동반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무릎 관절염은 수술 외에는 치료 방법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질환 초기에 치료를 시작하면 증상 완화가 충분히 가능하다. 무릎 관절염 초기의 환자는 약물 복용 및 주사 요법 등으로 통증과 염증을 억제하고 무릎 구조물을 강화시켜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중기로 진행된 무릎 관절염 환자는 조직의 손상이 심해 비수술적 치료 적용이 어려울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무릎 골연골을 재생시키는 미세천공술 및 줄기세포 카티스템 등의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만약 무릎 골연골의 대부분이 손상되고, 무릎뼈에 손실까지 생겼다면 무릎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김상범 원장은 “이외에도 무릎 관절염 치료에는 주사 요법 중 하나인 자가골수 줄기세포 주사 치료(BMAC)가 있다. 이 치료는 환자의 장골능에서 채취한 자가 골수를 원심 분리하고 농축된 골수 줄기세포를 무릎 관절강내 주사하는 것으로, 주사 치료만으로 골연골 조직의 재생 도모가 가능하다. 마취나 절개 없이 진행되어 환자가 느끼는 부담이 적고, 치료 시간도 매우 짧은 편이다. 또한 환자 본인의 골수를 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거부 반응에 대한 걱정도 크게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