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많은 사람이 동안을 위해 얼굴 주름에 집중하지만, 세월의 흔적은 어느 순간 목에서 먼저 드러나기 시작한다. 나이에 비해 깊고 뚜렷한 목주름이 생기면 그동안의 동안 이미지를 한순간에 흔들리게 만들 수 있다. 이에 주변 시선을 의식하거나 고민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으며, 그 중에는 전문 의료진의 도움을 구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청담차오름의원 김진호 원장은 “하지만 같은 목주름이라도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진다. 먼저 탄력 저하가 원인인 경우다. 목은 본래 진피층과 피하지방층이 얇고 피지선도 적어 쉽게 건조해진다. 이로 인해 주름이 쉽게 생기고, 한번 생기면 빠르게 깊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콜라겐 재생을 유도하는 콜라겐부스터 주사 치료나 피부 깊은 층에 열에너지를 줄 수 있는 레이저 리프팅 시술이 필요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서 “유독 세로로 길고 짙은 모양의 주름이 말을 하는 상황이나 고개를 돌릴 때 눈에 띈다면 이는 근육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 우리 목에 위치한 광경근이라는 근육은 본래 목을 팽팽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얇아지는 피부와 과도하게 수축된 광경근은 칠면조목이라고 불리는 세로 목주름을 야기한다. 이때는 간단하게 보톡스로 광경근의 수축을 완화하여 치료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또한 “탄력이 저하되지 않은 젊은 나이에도 목 피부가 접히듯이 주름진 경우엔 피부 깊은 층을 타겟으로 하는 레이저 리프팅을 통해 피하지방층을 줄이고, 진피층에는 히알루론산 필러를 이용해 목 피부 표면이 평평해 보일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라고 전했다.
단, 목은 피부가 얇고 혈관과 근육이 복잡하게 얽힌 부위이기 때문에 시술 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단순히 효과에 대한 후기나 가격 할인 광고에 혹해 성급하게 시술을 결정하면 시간이 지나 피부가 울퉁불퉁해지거나 볼록하게 솟아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김진호 원장은 “특히 필러의 경우 ‘물성’이 중요하다. 히알루론산 필러는 정상적인 체내에도 존재하는 히알루론산 성분을 사용하는데, 이를 가공하지 않고 추출한 직후 바로 주입하게 되면 짧은 시간 내에 흡수되어 버리기 때문에 일정 수준의 가공이 필요하다. 이때 필러 고유의 물성이 정해지며, 이는 점성과 탄성 그리고 응집력 등으로 구성된다. 점성은 얼마나 잘 퍼지는지, 탄성은 원래 상태를 얼마나 잘 잡아주는지, 응집력은 얼마나 주변 조직에 밀착되는지를 의미한다. 만족스러운 결과를 위해서는 목의 부위적 특성을 고려해 알맞은 물성을 선택하는 것이 관건이다.”라고 전했다.
이어서 “필러를 주입할 때도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 우선 진피층에 꼼꼼하게 주사를 해야 하며, 신경과 혈관을 피해 정확한 곳에 적절한 양을 주입해야 한다. 또한 목소리를 내고 목을 움직이게 하는 등 목의 기능적인 부분까지 이상이 없도록 보호해야 한다. 따라서 시술을 결정하기 전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과의 상담과 진단을 선행하고 자신에게 필요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