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유통과 농협하나로유통의 수익성 악화로 적자 규모가 점차 증가하면서 농협의 양대 유통조직의 재무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 방안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경북 고령군·성주군·칠곡군)이 18일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9~2023년) 농협유통의 매출액은 2019년 1조6,488억900만원에서 2023년 1조3,580억8,800만원으로 약 18%(2,907억2,100만원) 감소했고, 동 기간 당기순손익은 15억6,700만원에서 △287억6,800만원으로 적자 폭이 약 19.4배나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농협의 또 다른 유통조직인 농협하나로유통도 매출액 감소 등에 따른 적자 폭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2019년 3조1,195억3,200만원을 기록하던 매출이 2023년 1조2,915억3,300만원으로 약 59%(1조8,279억9,900만원) 감소했고, 동 기간 당기순손익이 △18억2,400만원에서 △309억5,900만원으로 적자 규모가 약 17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매출 및 당기순손익 감소 현상이 심화 됨에 따라 최근 5년간(2019~20
농협의 무자격 조합원 문제가 계속 해소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농협은 농협법에 따라 매년 1회 이상 조합원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는데, 연도별 무자격조합원 현황에 의하면 동시조합장 선거 직전연도에 무자격조합원 비율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선교 의원(국민의힘, 경기 여주시‧양평군)이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무자격조합원 현황에 의하면, 조합장선거가 치러지기 직전연도의 실태조사에서 무자격조합원 비율은 반복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14년 4.4%, 2018년 4.4%, 2022년 3.2%의 무자격조합원 비율은 무자격 조합원들의 선거 참여를 의심케 하는 대목이다. 2023년에는 전국의 4만 6,306명이 무자격 조합원으로 탈퇴했다. 실제로 농협측의 <역대 동시조합장 선거 후 재선거 현황>에 의하면, 무자격 조합원 문제로 지금까지 총 26곳에서 재선거를 치렀고, 재선거비용으로는 7억 2,300만원이 소요됐던 것으로 확인됐다. 2015년에 처음 치러진 제1회 동시조합장 선거에서는 전국 1,115곳 중에서 17곳에서 재선거를 치렀고, 2019년 제2회 선거에서는 전국 1,344곳에서 7
지역농협 ( 지역조합 ) 에서 4 년전 친형 가족들이 소유한 법인에게 132 차례 대출을 해주면서 390 억의 부당대출로 해당농협에 190 억원의 손실을 입히는 비리가 적발되었음에도 4 년이 지난 최근에서야 관련자들을 징계하는 등 늦장 처벌이 이루어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민의힘 서천호 ( 경남 사천 , 남해 , 하동 ) 의원이 농협중앙회 조합감사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지역농협 징계의결 자료에 따르면 , 2020 년 e 경북 00 농협 전 신용상무는 친형 가족들이 운영하는 6 개 법인에 담보물에 대한 부실한 감정 등을 통해 뻥튀기 대출비리를 저질러 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 당시 상무는 적발된 후 면직 처리 되었으나 비리대출에 관여했거나 결제라인에 있던 임직원들은 올 8 월에야 농협중앙회 조감위를 통해 징계 결정이 내려졌고 , 비리 대출에 주동자인 상무는 4 년이 지난 지금에서도 형사처벌 여부가 가려지지 않은채 관할 경찰서에서 수사가 진행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 경기도 00 농협에 과장대리로 근무하던 직원은 담보물도 없이 146 억원의 대출금을 260 번에 걸쳐 신용으로만 대출해 주고 그 댓가로 57 회에 걸쳐 4 천만원을
국민의힘 원내부대표 김소희 의원(비례대표)은 10월 17일 한국수자원공사(이하 수공) 국정감사에서 국제테마파크 용지의 저가 매각 특혜 의혹을 제기하며, 이 사안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위원회 차원의 고발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이번 사안을 두고 “수공이 소유한 해당 용지는 최소 6,000억 원 이상의 가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3,256억 원에 매각된 것은 명백한 특혜”라며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 공모지침 변경과 은폐 의혹… 대장동·백현동 사건과 유사김소희 의원은 수공의 담당 직원들이 사업자 공모지침을 임의로 변경하고 이를 본부위원회에 보고하지 않은 점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이번 사건의 구조가 “성남도시개발공사의 대장동 사건 및 한국식품연구원의 백현동 사건과 유사하다”며, 특혜 의혹과 배임 혐의가 짙다고 주장했다. 대장동 사건에서는 초과이익 환수 규정을 삭제해 4,895억 원의 손해를 초래했으며, 백현동 사건에서는 자연녹지지역을 준주거지역으로 4단계나 용도변경하는 로비가 있었다는 혐의로 배임 재판이 진행 중이다. 김 의원은 “수공의 용지 매각 사건 역시 이와 같은 구조적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용지 가치 저평가
9월 기준 농협의 대출 연체금이 14조 6,282억 원에 이르며, 3개월 만에 1조 3,365억 원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서울, 충남 등 주요 지역에서 연체금이 급증하며 농업 금융 부문의 자산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 연체율, 대구·충북 등에서 심각한 수준 농협의 대출 연체율은 2021년 0.88%에서 2023년 2.74%로 상승한 데 이어, 2024년 9월 기준 4.17%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대구의 연체율이 5.89%로 가장 높았으며, 충북(5.75%)과 경남(5.65%)이 그 뒤를 이었다. ◆ 경기·서울 지역 연체금 급증 3개월 동안 연체금 증가폭이 가장 컸던 지역은 경기(1,923억 원)로 조사되었으며, 서울(1,253억 원), 충남(1,182억 원)도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전북(975억 원), 전남(909억 원), 경북(824억 원), 부산(788억 원), 인천(781억 원)도 연체금 증가폭이 두드러졌다. ◆ 비조합원 대출 위험 확대 비조합원의 연체금이 8,886억 원 증가해 9월 기준 9조 2,382억 원에 달했으며, 연체율 역시 5.66%에서 6.23%로 상승했다. 준조합원의 연체금은 4조 1,585억 원으
‘엄마의 근로기준법’은 어떤 의미일까. 엄마는 정(情)이고, 나눔이고, 천륜의 언어다. 근로기준법은 법(法)이고, 쟁취이고, 자본의 언어다. 시인 강정례는 상반된 이미지의 두 단어를 통해 시공을 초월한 생명의 근원 어머니를 노래했다. 그녀는 생물학적 엄마를 우주의 불멸 존재로 승화시킨다. 탯줄에서 시작돼 숨길로 삶을 꾸미고, 별을 통해 세상 밖과 소통하는 엄마는 46억년 지구의 역사의 산증인이다. 그녀도 시나브로 엄마가 되어간다. 그녀도 언젠가는 엄마처럼 자연에 녹아 영원히 살 것이다. 그래서일까. 그녀의 시집 이름은 ‘우리집엔 귀신이 산다(푸른산)’이다. 귀신(鬼神)은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진 정령이다. 귀(鬼)는 좋지 않은 일을 하고, 신(神)은 복을 주는 존재다. 그러나 시인이 인식하는 귀신은 정겨운 도깨비와 같은 이미지다. 도깨비는 엄마와의 추억을 말하는 사모곡의 상징으로 영원한 아기자기한 삶을 뜻한다. 그녀는 언제부턴가 밤하늘을 보던 엄마를 떠올렸다. 엄마의 엄마 또 엄마가 바라본 별 하늘을 생각했다. 시인에게 엄마는 생물학적 존재에서 별과 함께 우주로 확산 되어간다. 누대에서 누대로 이어오는 시간을 지배하는 엄마다. 불멸의 존재로 엄마를 완성시키려는
최근 5년간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의 등급이 하향되며 산림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은 환경적으로 보호가 필요한 지역으로 개발 제한을 받지만, 산주와 일부 지자체가 이를 악용하여 숲가꾸기와 벌채 후 등급을 하향시키는 사례가 늘고 있다. 임호선 의원(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이 국립생태원 및 전국 17개 시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429개의 지역에서 ‘생태·자연도 등급조정 이의신청’이 접수되었으며, 그중 70%에 해당하는 300개 지역의 등급이 하향되었다. 특히 1등급 지역 중 216건은 전체 하향, 60건은 부분 하향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38곳은 숲가꾸기 및 벌채를 진행한 후 등급 조정을 신청해, 상대적으로 환경영향평가 통과가 쉬워지는 등 개발에 용이한 조건을 만든 것으로 드러났다. 강원, 충남, 경북, 경기 등 다양한 지역에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며, 이들 지역에서는 풍력발전단지, 케이블카, 골프장 확장 등의 개발 계획이 이미 추진되고 있다. 임 의원은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의 숲가꾸기와 벌채 악용 사례는 근절되어야 하며, 이를 방관하는 산림청과 지자체의 묵인은 부적절하다”고 강
산림청이 보유한 카모프 헬기(KA-32)가 가동 중단 위기에 처해 있으며, 헬기 관리 부실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서천호 국회의원(국민의힘, 재해대책위원장)이 산림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산림청이 보유한 29대의 KA-32 헬기 중 절반 이상인 15대(51.7%)가 2027년까지 가동을 중단할 위기에 있다. 현재 산림청의 헬기 가동률은 2023년 기준 71.1%에 불과하며, 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헬기 부품 수급이 어려워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산 부품으로 대체하려 해도 기술 표준의 차이로 인해 호환이 되지 않는 상황이며, 비인가 부품은 사용할 수 없는 규정도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헬기 정비와 관련된 위탁 정비 관리의 부실이다. 산림청은 헬기 정비 감독 및 대금 지급 과정에서 관련 규정을 다수 위반한 것으로 드러났다. 헬기 부품 입찰계약에서 부속서류의 진위 확인이 부실해 국고 손실 약 197만 원이 발생했으며, 위탁정비계약 감독관 미지정, 감독조서 미제출 등 관리 소홀 사례가 다수 적발되었다. 서천호 의원은 "산림청의 헬기 관리 부실이 심각한 수준"이라며, "국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산불 진화 능력이
대한민국 유일의 발효식품 품평회인 ‘참발효어워즈 2025’가 본격적인 출품 접수를 시작하며, 발효식품 산업의 발전과 소비자 접근성을 강화하고자 한다. 이 행사는 오는 2024년 10월 7일부터 10월 31일까지 출품 접수를 진행하며, 2025년 2월 15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시상식을 열 예정이다. 이번 참발효어워즈는 간장, 된장, 고추장, 청국장, 탁주, 약주, 소주, 목장치즈, 발효식초, 장아찌, 한국와인 등 총 11개 부문에서 출품작을 받는다. 행사는 고품질 한국산 발효식품을 국내외 소비자와 연결하며, 특히 소규모 발효식품업체의 판로 확대를 도울 예정이다. 심사 과정은 관능평가 전문기관과 협력하여 전문가와 소비자의 두 차례 관능평가를 거친다. 또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 지표를 도입해 농업과 환경, 지역경제에 이로운 제품에 가산점을 부여할 방침이다. 출품업체는 제품 관능평가 분석 자료와 맛 분석 워크숍 참여 기회를 제공받으며, 수상 시 다양한 혜택을 얻는다. 대상 수상자는 소매점 입점, 홍보 콘텐츠 제작, 교육 프로그램 지원 등 다방면의 특전을 누릴 수 있다. 김원일 내일의식탁 이사장은 “다양한 맛과 지속가능한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을 확
대한민국 군대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량이 연간 11만 톤을 넘어서며,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황희 의원(서울 양천갑)이 각 군(육군·해군·공군·해병대)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매년 10만 톤 이상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했고, 특히 2022년부터는 11만 톤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2023년 기준으로 군 장병 1인당 연간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살펴보면, 해병대가 282kg으로 가장 많았고, 육군(244kg), 공군(167kg), 해군(159kg)이 그 뒤를 이었다. 이는 국민 1인당 발생량인 114kg을 훨씬 웃도는 수치로, 군대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사회 전체의 평균치를 크게 초과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1인당 배출량이 늘어나는 원인 중 하나로 군 급식의 만족도 문제가 언급되고 있다. 군 급식의 질과 만족도가 낮아 급식 및 급양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군에서 배치된 영양사 현황에 따르면, 육군 110명, 해군 18명, 공군 36명, 해병대 7명, 국직 29명 등 총 200명이 배치되어 있으며, 전군 50만 명을
수협의 대출 연체금이 3개월 만에 2,849억 원이나 급증해 2조 3,620억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선교 의원(국민의힘, 경기 여주시·양평군)이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연체금은 2조 771억 원이었으나 9월에는 2조 3,620억 원으로 크게 늘었다. 같은 기간 연체율도 6.08%에서 6.85%로 0.77%포인트 상승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515억 원으로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경남(486억 원), 경기·인천(363억 원), 전남(352억 원) 등도 연체금 증가 폭이 컸다. 연체 건수는 6월 7,171건에서 9월 7,746건으로 575건 증가했으며, 특히 전남 지역에서 186건이 늘어나며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신분별로는 준조합원의 연체금 증가가 두드러졌다. 6월 1조 8,695억 원에서 9월 2조 1,440억 원으로 2,745억 원 급증한 반면, 조합원의 연체금은 50억 원 줄었다. 비조합원 연체금액은 같은 기간 153억 원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선교 의원은 “수협 대출 연체금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어 우려된다”며 “자산 건전성 유지를 위해 지역과 신분별 특성을 면밀히
주영한국문화원(원장 선승혜/이하 문화원)은 런던 중심부에 위치한 영국 최대 서점 중 하나인 포일스(Foyles) 채링크로스 본점에서 10월 1일(화)부터 31일(목)까지 한달간 ‘한국 문화의 달 (Korean Culture Month)’을 개최한다. 주영한국문화원은 한강 노벨문학상 수상을 축하하며 10월 11일 포일즈 채링크로스 본점 언어 부분에 ‘한강 특별 코너’ 설치를 지원했다. 또한, 노벨상 발표 직후 10월 10일 주영한국문화원에 한강 특별코너를 만들어, 영국에서 매진된 한강의 책들이 입고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한강의 애독자들에게 문화원에서 저서를 읽을 수 있게 배려했다. 포일스 서점은 하루 평균 약 5천 명이 방문하는 영국 대표 서점으로 문화원과는 2018년부터 ‘한국문화의 달’행사를 진행해 왔다. 10월 한 달간 포일스 서점에는 포일스의 언어부문 담당자가 선정한 영문 번역 한국 서적과 한국도서가 한국 소품과 함께 전시되며 서점 곳곳에 한국 책과 문화를 홍보한다. ※ 포일스 서점은 동 행사가 개최된 런던 채링크로스 점을 비롯해 영국 내 7곳의 대형서점을 운영 중이며, 채링크로스 점은 지상 6층, 연면적 3만7000㎡ 공간에 20만권의 책을 보유하고
최근 10년간 지역농협 하나로마트에서 수입산 농축산물을 국내산으로 속여 팔거나, 원산지를 미표시한 채 판매하다 적발된 건수가 124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서천호 의원(국민의힘, 경남 사천·남해·하동)이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년간(2015년~2024년 6월) 농축산물 원산지 표시 위반으로 121개의 지역농협이 적발되었다. 특히 적발된 124건 중 84%에 해당하는 104건이 수입산 농축산물을 국내산으로 속여 팔던 사례로 드러났다. 적발된 주요 품목은 숙주나물, 고사리, 콩나물, 배추김치, 수산물 등으로, 농협이 수입을 제한적으로만 한다고 주장해온 명분과는 달리 다양한 품목에서 위반 사례가 발생해 논란이 되고 있다. 처벌 미비와 관리 부실 문제농협의 원산지 위반 사례가 적발된 이후에도 처분이 대부분 단순 표시변경으로 끝난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124건 중 과태료 처분이 내려진 건수는 단 17건에 불과하며, 나머지 107건은 표시변경 조치에 그쳤다. 이처럼 전반적인 원산지 관리와 후속 조치의 부실함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서천호 의원은 “지역농협은 국민들에게 안전한 먹
최근 5년간(2019~2024.8) 수서고속철도(SRT)에서 적발된 부정승차 건수가 총 70만 4,509건에 이르고, 이에 부과된 금액만 66억 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점식 의원(국민의힘, 경남 통영시·고성군)이 ㈜에스알(SR)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부정승차 적발 건수는 2019년 11만 5,177건에서 2023년 20만 건으로 급증하며, 연평균 약 12만 건에 달하고 있다. 부정승차 유형 및 상습 거부자 문제부정승차의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유형은 표를 구매하지 않고 열차에 탑승한 후 자진신고하는 '사전신고' 방식으로, 전체의 99%에 해당하는 69만 8,562건이 이에 해당한다. 철도사업법에 따라 부정승차가 적발될 경우 운임의 최대 30배까지 부가운임이 부과되지만, 상습적으로 납부를 거부하는 경우 철도사법특별경찰대에 인계된다. 그러나 2023년까지 인계된 77명 중 99%에 해당하는 76명이 여전히 부가운임을 납부하지 않고 있어 미징수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대책 미비, 단속 강화 필요SR 측은 부정승차 방지를 위해 특별 기동검표 단속을 강화하고 있지만, 그 횟수는 2022년 3회, 2023년 6회, 2024년
로빈슨(ROBINSON)은 최근 한국에서 로드쇼를 개최하여 아시아 지역의 대표 리조트를 홍보했다. 전 세계 15개국에 26개 리조트를 보유한 로빈슨(ROBINSON)은 이번 행사에서는 몰디브의 로빈슨 누누와 베트남의 남호이안, 태국의 카오락 리조트 등이 소개되었다. 로빈슨의 산드라 시몬 레이브록(Sandra Simone Leibrock) 세일즈 마케팅 디렉터는 리조트의 다양한 스포츠 및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과 맞춤형 서비스를 강조하며, 한국 시장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 몰디브와 베트남, 태국의 리조트들은 럭셔리한 여행 경험과 다채로운 활동으로 한국 고객들의 이목을 끌었다. <8일 이비스 스타일 앰배서더 서울 명동 호텔에서 산드라 시몬 레이브록 디렉터가 여행사와 기자들에게 로빈슨 리조트에 대하여 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원건민기자> 산드라 시몬 레이브록 디렉터는 "로빈슨은 고객의 만족도와 추천비율이 매우 높아 재방문율이 높으며, 고객에게 마치 세컨드홈과 같은 친근한 여행을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보다 많은 한국의 가족들과 젊은 이들이 로빈슨만의 특별한 여행을 경험하고 무엇보다 자연의 소중한 가치를 경험해 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1950년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