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조재성)는 14일 대전 KT 인재개발원에서 제3회 육우자조금 대의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육우자조금 대의원회는 코로나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진행되었으며 대의원 30명 중 20명이 참석하여 회의가 진행되었다. 이번 2022년 육우자조금 제3회 대위원회의 주요안건은 ▲미수금 손실처리의 건 ▲2021년 이월금 사업비 편성의 건 ▲2022년 육우자조금 사업예산 변경의 건 등이었다. 육우자조금은 지난 제2회 관리위원회에서 논의되었던 3가지 주요안건에 대하여 대의원회를 통해 다시 한번 안건을 논의했다. ▲미수금 손실처리의 건에 대해 2020년 및 2021년까지 육우자조금의 미수금은 없으며 지난 미수금에 대해 농가 및 내부 사정으로 인한 누락 건에 대해 손실처리 하기로 원안의결 되었다 또한, ▲2021년 이월금 사업비 편성의 건 ▲2022년 육우자조금 사업예산 변경에 대하 원안의결 되었으며 자리에 모인 대의원들은 육우자조금 및 육우 산업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소비촉진 행사 마련, 소비자가 육우를 접할 수 있는 기회 마련 등 온?오프라인 활동을 강화하고 지역의 육우 산업 활성화에 힘써주길 당부했다. 더불어 기타 안건으로 지역 육우 지부 활성화에
농협(회장 이성희) 경제지주 친환경방역부는 17일 충남 부여읍 소재 부여문화원에서 양축농가 사료값 및 외화 절감을 위한 하천부지 야초(들풀) 사료자원 이용 업무설명회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농림축산식품부 및 지자체, 농협경제지주와 농축협관계자 5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개최되었으며, 최근 수입조사료 가격 급등 및 수급 불안정으로 어려움을 겪는 양축농가의 경영 안정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되었다. 참가자들은 ▶전국 하천 현황 ▶하천 점용허가 ▶추진 시 애로사항 및 대책 공유 ▶경제성 분석 등에 대해 설명을 경청한 후, 부여축협이 위탁 관리하는 금강유역 하천부지에 방문하여 우수사례를 살펴보았다. 안병우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대표이사는“국제 곡물가 급등과 고환율 등으로 양축농가의 사료값 부담이 매우 큰 상황인데, 농협에서는 정부·지자체와 협력하여 축산농가의 부담완화를 위해 다양한 대응방안을 강구하고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견학 현장에서 부여축협 정만교 조합장은“부여 금강유역의 하천부지 140ha 면적에서 2,500롤의 들풀을 수거하여 생축장과 조합원 농가에 원가로 공급하고 있는데, 수입조사료 수급이 어려운 시기에 축산농가 사료비 절감에 기여하겠다”고 말했
축산생산자단체, 농협사료 대표이사 면담 실시 사료값 인하요인 발생시 선도적 가격 인하도 요구 축산생산자단체(축단협 이승호 회장, 한우협회 김삼주 회장, 양계협회 이홍재 회장)는 지난 29일 농협사료 본사에서 안병우 농협사료 대표이사와 면담을 갖고, 최근 농협사료 가격인상 예고와 관련해 축산농가의 입장을 전달했다. 이날 면담에서 축산생산자단체들은 8월 2일부터 농협사료 가격인상과 관련해 원자재 가격 및 환율상승 등 사료시장의 어려움을 이해한다면서도, 축산농민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하는 농협사료에서 가격인상을 단행하는 것에 대한 유감표명과 함께 인상폭 최소화를 요구했다. 또한, 생산자단체들은 환율과 곡물가격이 떨어져 사료가격 인하요인이 발생했을 경우 농협사료에서 선도적으로 사료가격 인하에 앞장서 줄 것을 요구하였다. 아울러 연말까지 사료가격 추가인상이 없도록 자구책 마련과 함께 장기적으로 사료가격 안정장치 등 농가 경영부담 완화방안 마련도 촉구하였다. 안병우 대표이사는 면담에서 “버틸 만큼 버텼으나 불가피하게 가격인상을 단행하게 된 점에 대해 유감이다”면서, “추후 인하요인 발생 시 농협사료에서 선도적으로 사료가격 인하반영을 통해 축산농가 경영안정에 기여하겠다”
연이은 ASF, AI 등의 가축질병과 사상 유례없는 코로나19로 발생한 극심한 소비위축으로 축산업의 위기가 어느 때보다 심각한 상황 속에서 일부 사료업체의 배합사료 가격 인상과 인상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가뜩이나 절박한 축산농가들의 의욕을 꺾고있는 상황이다. 이에 축산관련단체협의회는 4일 성명을 통해 사료업계가 축산농가의 고통을 나누는데 함께 해야 할때라며 “사료업계의 배합사료 가격인상 중단과 철회를 요구한다!” 제하의 성명을 발표했다. 다음은 축단협 성명서 내용이다. 연이은 ASF, AI 등의 가축질병과 사상 유례없는 코로나19로 발생한 극심한 소비위축으로 축산업의 위기가 어느 때보다 심각한 상황이다. 양돈·낙농·가금류 농가를 비롯한 전국의 축산농가들이 평생 일궈왔던 생업을 포기하는 안타까운 상황에 처해 있는데도, 일부 사료업체의 배합사료 가격 인상과 인상 움직임은 현장농가들의 가슴에 못을 박는 배신행위라 할 수 있다. 물론 최근 곡물가격이나 수입여건을 보면 사료업계의 고충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사경을 헤매고 있는 축산농가의 절박한 상황을 감안해 지금은 사료업계가 축산농가의 고통을 나누는데 함께 해야 할 때라고 본다. 연초부터 한돈농가에 지난해 큰 고통
장기화되고 있는 ASF 사태와 최근 이어지고 있는 코로나19 등 각종 악재속에서 배합사료 업계가 사료값인상을 예고하고 있어 전국 양계농가들의 분노가 들끓고 있다. 대한양계협회(회장 이홍재)는 19일 성명을 통해 “사료값 인상은 상생을 전제로 한 공동발전이라는 취지에 근본적으로 배치하는 처사”라고 꼬집으며 심한 배신감과 분노를 느낀다고 맹비난했다. 양계협회는 “산지 닭고기 값은 소비감소 등의 영향으로 가격폭락을 거듭해 관련 농가와 업계는 지속 가능 여부를 깊이 고심하고 있다”며 “달걀 가격 또한 2년이 넘는 장기간에 걸쳐 생산비 이하 또는 절반에도 못 미치는 불황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에서 배합사료 가격 인상 조치는 그야말로 폐업 강요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영향으로 가뜩이나 소비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양계산업은 그야말로 엎친 데 덮친 격의 이중고에 시달릴 고통이 심히 우려되는 상황이다. 협회는 양계산업의 현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배합사료 업계가 가격 인상을 고집한다는 것은 상생자적인 입장에 있는 농가는 죽든 말든 나 혼자만 살면 된다는 이율배반적인 치졸한 발상으로 치부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고 배합사료 가격 인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