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국내·외 논문에 실린 질병 6만여 건 분석 젖소 생식기 질병 많고 한·육우는 소화기 질병 많아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우리나라에서 사육하고 있는 소에서 주로 발생하는 질병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질병의 원인체를 분석해 발표했다. 이번 분석은 최근 10년간(2010∼2019) 발표된 국내·외 연구 논문 81편에 보고된 5만 9,504건의 질병 원인체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연구진이 소의 소화기 질병, 생식(번식) 질병, 진드기 매개 질병을 분석한 결과, 성장단계, 품종 등 분류에 따라 질병 원인체 검출률이 다르게 나타났다. 성장단계에 따라 12개월령 미만 소(송아지, 육성우)는 어른소(성축)보다 설사를 유발하는 소화기 질병이 많았다. 질병 원인체는 병원성 대장균(27.8%)과 구포자충(23.7%) 검출률이 높았다. 품종별로 보면 젖소는 번식에 영향을 주는 생식기 질병이 많았고, 한·육우는 소화기 질병이 많았다. 젖소에서 나온 생식기 질병 원인체는 네오스포라(22.6%), 콕시엘라 버네티(13.7%)2) 등이며 한·육우에서 나온 소화기 질병 원인체는 병원성 대장균(18.9%), 코부바이러스(16.4%), 소 바이러스성 설사병 바이러스(9.6%) 등
■ 한육우 9월 사육 마릿수는 도축 마릿수 증가가 예상되지만, 1세미만 마릿수와 가임암소 마릿수 증가로 전년보다 2.4% 증가한 309만1천마리로 전망된다. 이력제 자료를 이용한 출하예정 마릿수가 전년보다 많아 도축 마릿수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추석 시기의 차이로 9월 도축 마릿수는 전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9월 도축 마릿수는 전년보다 5.7~8.2% 감소한 7만2천~7만4천마리로 예상되며 10~11월은 전년보다 4.5~7.7% 증가한 11만9천~12만3천마리로 전망된다. 9~11월 한우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도축 마릿수 증가가 예상되어 전년보다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9월 한우 도매가격은 지육 kg당 17,400~18,400원으로 전망되며 10~11월 도매가격은 16,900~17,900원으로 전망된다. 향후 한우 사육마릿수는 송아지 생산 잠재력이 높아 1세미만 마릿수 증가가 예상되며 지난해 늘어난 1세미만 마릿수의 영향으로 올해 1~2세 마릿수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12월 한우사육 마릿수는 전년보다 2.8% 증가한 304만5천마리로 전망된다. ■ 젖소 9월, 12월 젖소 사육마릿수는 1~2세 미만 사육 마릿수가 줄어 전년보다
전국의 우수 친환경축산 농가 및 업체를 대상으로 한 2019 친환경축산 대상 공모가 진행된다. (사)친환경축산협회(회장 임웅재)는 올해 친환경 축산인의 정보 교류 및 화합의 장을 마련하고 친환경 축산농가와 유통업체의 친환경축산 실천의욕을 고취하기 위해 친환경축산 대상 시상식을 갖는다고 29일 밝혔다. 참가자격은 농가의 경우 친환경축산물(무항생제축산물 또는 유기축산물) 인증농가(필수조건), 동물복지축산농장 인증농가, 산지생태축산 시범사업 참여농가, 정부 및 산하기관 체험교육 지정농가, 기타 친환경경축산 관련 인증농가 등이며, 업체는 친환경 취급자 인증을 받은 업체만 참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친환경축산협회는오는 8월 30일까지 친환경 축산농가 및 업체를 대상으로 참가신청을 받고 있다.참가를 원하는 축산농가나 업체는 친환경축산협회 사무국에 우편 및 이메일, 웹하드 등을 통해 접수하면 된다. 총 3차례의 심사를 거쳐한·육우, 낙농, 양돈, 산란계·육계·오리 등 가금, 기타축종, 유통 등 총 6개 부문에 참가한 친환경축산 농가 및 업체 중에서 선정된 우수 농가와 업체에 대해서는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 및 친환경축산협회장상, 축종별 협회장상 등이 수여된다.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