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5 (토)

  • 흐림동두천 7.5℃
  • 맑음강릉 8.4℃
  • 흐림서울 9.6℃
  • 구름조금대전 9.3℃
  • 구름많음대구 11.3℃
  • 구름많음울산 8.8℃
  • 흐림광주 10.4℃
  • 구름많음부산 10.9℃
  • 흐림고창 5.9℃
  • 흐림제주 10.2℃
  • 흐림강화 6.4℃
  • 맑음보은 6.9℃
  • 구름조금금산 7.5℃
  • 흐림강진군 9.1℃
  • 구름많음경주시 7.9℃
  • 구름많음거제 10.0℃
기상청 제공

【국감】인천항만공사 등 해킹 탐지 건수 2019년 대비 7배 급증

- 9개 공공기관 연도별 해킹 탐지 건수, 2019년 49건 → 2023년 337건 7배 급증!
- 9개 공공기관 중 재해복구 (DR) 시스템 구축 기관은 여수광양항만공사 뿐 !
- 정희용 의원, “해킹뿐 아니라 재해 · 재난에 대비하여 데이터를 신속히 보존 · 복구할 수 있도록 재해복구 시스템 구축에 만전을 기해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경북 고령군 · 성주군 · 칠곡군)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국정감사 대상 공공기관의 해킹 시도 탐지건수가 최근 5년여간(2019~2024.10 월) 총 1,145 건으로 확인됐다.

 

 21일 국정감사 대상 공공기관은 인천항만공사, 부산항만공사, 여수광양항만공사, 울산항만공사,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해양박물관, 국립해양과학관, 한국항로표지기술원, 한국해양조사협회로 총 9개 기관이다.

 

 9개 공공기관의 연도별로 해킹 탐지 현황을 살펴보면, ▲ 2019년 49건, ▲ 2020년 43건, ▲ 2021년 196건, ▲ 2022년 310건, ▲ 2023년 337건으로 2019년 대비 2023년 약 7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 파악됐으며, 올해는 벌써 210건으로 집계됐다.

 

 기관별로 해킹 탐지 현황을 살펴보면, ▲ 인천항만공사가 416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 부산항만공사 254건, ▲ 국립해양박물관 166건, ▲ 한국해양조사협회 144건, ▲ 여수광양항만공사 121건, ▲ 울산항만공사 36건,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8건 순으로 나타났다. 국립해양과학관과 한국항로표지기술원은 0 건으로 해킹 탐지 건수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천재지변이나 테러 같은 참사에도 데이터를 보존하고 빠르게 복구하는 장치인 재해복구 (DR) 시스템을 구축한 기관은 여수광양항만공사 뿐이었으며, 다른 기관은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은 것도 확인됐다.

 

 정희용 의원은 “해킹시도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데이터 유출 및 손실에 대한 위험이 크다는 반증이다” 라며 “해킹으로부터 데이터 관리와 보호를 위해 철저히 대비하여야 한다” 고 밝혔다.

 

 이어, 정 의원은 “해킹뿐 아니라 재해 · 재난에 대비하여 데이터를 신속히 보존 · 복구할 수 있도록 재해복구 시스템 구축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고 말했다.

배너
배너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