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유동수 의원(국회 정무위원회, 인천계양갑)이 2월 7일 국회에서 개최한 「2025년 금융소비자보호포럼 : 인공지능 (AI) 금융사기 대응 가능한가?」 포럼이 성황리에 마쳤다.
최근 중국의 딥시크, 미국의 챗 GPT 등으로 인해 인공지능(AI) 열풍이 거세지고 있다. 이에 이번 포럼은 디지털 금융 환경에서 급증하고 있는 금융사기에 대응하기 위해 AI 활용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되었다.
금융과행복네트워크, 시니어금융교육협의회, 금융소비자네트워크와 주관으로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과 함께 공동주최를 했다.
정운영 금융과행복네트워크 이사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을 이끌었으며, 최승재 세종대학교 교수와 김정민 씽크풀 전무가 발제자로 나서 AI 금융사기의 현황과 대응책에 대해 발표했다.
유동수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금융산업이 디지털 전환(DX) 을 가속화하며 인공지능, 오픈 API, RPA(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기술이 도입되면서 금융 소비자의 편의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동시에 AI 기반 금융사기가 나날이 정교화되고 있다" 며 "특히 딥페이크 기술을 이용한 보이스피싱, AI 챗봇을 활용한 금융 사기 등 신종 범죄 수법이 등장하는 만큼,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입법부와 정부도 긴밀히 협력해 사전 예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발제 이후 이어진 토론에서는 금융기관 및 IT 보안 전문가들이 참여해 AI 금융사기의 유형과 최신 동향,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기술적 · 제도적 대응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글로벌 금융권에서 활용하고 있는 AI 기반 보안 시스템과 국내 금융기관의 대응책을 비교하며,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유동수 의원은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의견을 나누고 해결책을 모색한 이번 포럼이 금융 소비자 보호와 산업 발전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지혜를 모으는 토론의 장이 되었다” 며 “오늘 논의된 소중한 의견들을 바탕으로 금융사기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AI 등 신기술을 활용한 안전한 금융환경을 조성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 고 포럼 개최의 소회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