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휜다리, 오다리는 똑바로 서 있을 때 양쪽 무릎이 맞닿지 않고 벌어져 있는 체형을 뜻한다. 휜다리는 외형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두드러질 수 있지만 이는 단순히 외형적인 문제에만 그치지 않는다.
휜다리 체형의 사람은 나이가 들어갈수록 무릎 연골의 손상이 심해져 무릎 퇴행성관절염이 빠르게 시작될 수 있다. 또한 다리뼈의 변형으로 인해 골반 및 허리, 발목의 정렬이 틀어져 신체 곳곳에서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편이다.
휜다리 체형은 유전적인 요인도 원인이 되지만 생활 습관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 특히 양반다리로 앉거나 쪼그리고 앉는 행동은 다리를 휘어지게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무릎 연골의 손상 및 파열은 무릎 관절을 좁아지게 만들기 때문에 이러한 질환 역시 휜다리를 유발할 수 있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휜다리 체형은 체중을 무릎 안쪽으로 집중시켜 무릎 연골 손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다리 모양의 변형은 무릎 관절 건강의 적신호로 여겨지는데, 많은 연구 결과에 따르면 휜다리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퇴행성과 관련된 무릎 질환이 일찍 찾아오고 증상도 심한 편으로 나타난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리가 얼마나 휘어졌는지 정확한 수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체중이 부하된 상태에서 엑스레이를 찍어야 한다. 이를 통해 뼈의 각도 및 무릎 관절의 좁아진 정도를 측정해야 하며, 중심 체중이 어디를 지나는지도 확인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상범 원장은 “휜다리 체형의 사람은 좁아진 무릎 관절을 다시 늘려주고, 휘어진 다리를 곧게 만드는 휜다리 교정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무릎절골술로써 종아리뼈의 한쪽 부분을 인위적으로 절골하여 종아리뼈를 곧게 교정한 뒤 금속판을 이용하여 뼈를 고정하는 방식이다”고 전했다.
이어 “무릎절골술은 미용 목적보다는 대부분 퇴행성관절염 진행을 막기 위한 관절염 치료 목적으로 진행된다. 휜다리와 같은 다리의 변형은 관절염과 직결된 문제이므로 가급적 치료를 미루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