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4 (월)

  • 흐림동두천 4.8℃
기상청 제공

정혜경 의원, MBK의 기업사냥...노동자 삶 짓밟아

홈플러스 강동점 현장 방문
회생절차 뒤 현장 불안 극심해, 투기자본 규제 마련 시급

 

홈플러스의 법정관리 돌입 이후 고용불안이 현실화되는 가운데, 진보당 정혜경 의원이 1일 서울 강동구 홈플러스 강동점을 찾아 현장 노동자와 입점업체 대표들의 목소리를 들었다.


이번 방문은 홈플러스 사태 해결과 종사자·입점업체 보호를 위한 진보당 대책위원회(위원장 정혜경) 차원에서 이뤄졌다.


현장에서 만난 노동자들은 MBK파트너스의 무리한 인수 이후 지속된 구조조정과 실적 악화 속에서, 회생절차가 결국 노동자의 일자리와 생계에 직격탄을 날리고 있다고 토로했다.


한 노동자는 간담회 자리에서 “MBK의 기업사냥이 노동자들의 삶을 벼랑 끝으로 몰고 있다. 왜 이런 일이 반복되는가”라고 울분을 토했다.


입점업체 대표들도 생존 위기를 호소했다.

 


한 입점업체 관계자는 “매장을 계속 운영해도 되는지 하루하루 불안한 상황”이라며 불확실성에 대한 정부와 본사의 무책임을 지적했다.


앞서 홈플러스는 지난달 4일 서울회생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했고, 법원은 같은 날 개시를 결정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채권자나 현장 이해당사자들과의 사전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이 내려졌다는 점이다.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는 지난 2015년 테스코로부터 홈플러스를 약 7조원 규모로 인수했으며, 이 중 5조원을 외부차입으로 조달하는 ‘차입매수(LBO)’ 구조였다.


인수 이후 MBK는 점포 자산을 대거 매각하고 이를 임대 형태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자금 회수에 나섰고, 그 결과 홈플러스는 막대한 임대료와 이자 부담을 떠안게 됐다.

 


실적 악화와 함께 고용불안, 입점업체 피해, 지역경제 위축 등 악순환이 구조화된 셈이다.


정 의원은 “MBK는 투자 약속도 지키지 않았고, 기업은 물론 노동자와 상인들의 삶을 송두리째 망가뜨렸다”며 “정부는 회생절차 진행에 있어 노동자의 고용과 입점업체 보호에 대한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투기자본에 대한 규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제도개선을 예고했다.


정혜경 의원은 오는 3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3간담회실에서 ‘홈플러스 사태로 본 투기자본 MBK 규제방안 마련 토론회’를 개최하고 사모펀드 규제 법안 발의를 통해 제도 개선에 본격 나설 예정이다.​


 

배너
배너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