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소 우리가 자주 할 수 있는 위생 관리 중 하나가 바로 ‘손 씻기’이다. 하지만 이러한 손 씻기가 괴로운 이들이 있는데, 바로 ‘한포진’ 환자들이다. 한포진 환자들은 손바닥과 발바닥에 수포와 가려움이 발생하면서 나타나는 고통과 함께 일반인들이 보기에는 무좀으로 오인할 수 있는 외관으로 인해 많은 고통을 겪고 있다.
습진성 피부질환인 한포진은 무좀과 외관상 비슷한 증상을 보이지만, 일반 무좀과는 달리 수포가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무좀은 균에 의해 나타나고 전염 등의 위협이 있지만, 한포진의 경우 면역력 문제로 증상이 나타나게 되어 전염되지 않는다.
한포진은 손가락, 발가락의 끝부분에서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점차 심해지면 손바닥과 발바닥 전체, 손등, 발등까지 작은 수포(물집)가 생기면서 가려움을 함께 유발하게 된다. 외관상으로는 홍반과 비늘, 진물, 부종의 증상을 보이고, 만성화가 될수록 피부가 두꺼워지고 거칠어지며 과다 각화증, 태선화를 보일 수 있다.
해당 질환은 환자의 신체 컨디션에 따라 증상이 호전 및 악화를 반복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증상이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증상 악화, 2차 감염, 손과 발톱의 변형 등의 주된 원인이 된다.
생기한의원 잠실점 유옥희 대표원장은 “대중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한포진 등의 습진 치료는 염증을 억제하는 치료가 대부분이다. 많은 시술이 시행되고 있는 염증 억제 치료는 일시적인 증상 호전은 기대할 수 있지만, 재발 및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체 내부의 환경을 개선하는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빠른 쾌유에 도움을 줄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의원에서의 한포진 등 습진성 질환의 원인을 인체 내부의 순환장애로 인해 면역력이 저하되면서 증상이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질환의 근본전인 치료를 위해 외부 병변만을 치료하는 것이 아닌 환자의 체질에 맞춘 한약과 약침, 침, 뜸 치료를 통해 신체 내부의 문제를 개선한다”고 전했다.
유옥희 원장은 “이와 같은 치료를 통해 떨어진 면역력 회복과 피부 재생력을 증대시키며 재발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한포진 등 습진성 질환 외에도 아토피, 건선, 여드름 다양한 피부질환에도 해당 치료법을 적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한포진은 손•발을 씻은 후 충분히 건조와 보습이 필수적이며, 평소 스트레스를 자주 받는다면 충분한 휴식을 통해 이를 해소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