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립선비대증은 중년 이상의 남성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비뇨기 질환으로 60세까지 남성의 절반, 85세까지 남성의 약 90% 정도가 전립선비대증을 경험한다고 알려졌다. 전립선은 나이가 들면서 점차 커지게 되고, 비대해진 전립선은 요도를 압박해 배뇨의 어려움을 초래한다.
전립선염 및 전립선비대증은 모두 전립선과 관련된 질환이지만 원인과 증상이 다르며, 종종 혼동되는 경우가 있다. 두 질환 모두 배뇨 장애를 유발하지만, 원인과 치료법이 다르므로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전립선비대증 증상으로는 빈뇨, 야뇨, 요속 감소 및 잔뇨감 등이 있으며, 이는 일상생활의 질을 크게 떨어뜨린다. 증상이 심해지면 방광 기능이 약해지고, 심한 경우 신장 손상까지 초래할 수 있다. 단순한 노화 과정이 아니라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므로,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구 이룸비뇨의학과 이창민 대표원장(비뇨의학과전문의)은 “전립선비대증의 근치적 치료 방법은 크게 크게 약물치료와 수술치료가 있다. 일반적으로 전립선비대증 초기에 약물 치료를 시행하다가, 증상이 심해지면 시술 혹은 수술적 치료를 받는 것이 보통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에는 리줌, 유로리프트, 홀렙 등 전립선비대증의 새로운 치료 방법들이 많이 등장했지만, 최근 전립선비대증의 대표적인 수술법으로 전립선결찰술 프로게이터(ProGate)가 활용되고 있다. 이는 전립선의 크기, 형태, 요도 길이에 따라 결찰의 위치, 범위, 정도를 환자 개개인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결찰을 위한 전립선 조직의 압박 정도를 시술자가 조절하여 시술하므로, 원하는 만큼의 압박을 할 수 있으며 이로써 환자에게 적합한 결찰을 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창민 원장은 “특히 국소마취 하에 최소 침습적인 시술로 당뇨, 고혈압 등 지병이 있는 중장년층 환자부터 80세 이상 고령자도 시술이 가능하며, 수술 시간은 10~20분 정도 소요되고 당일 퇴원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고 전했다.
이어 “수술적 치료는 모든 환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개개인의 전립선 상태와 증상에 맞춰 적절한 방법이 선택되어야 한다. 전립선 크기, 해부학적 구조, 동반 질환 등에 따라 치료법의 효과와 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비뇨의학과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거쳐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