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길사료(대표 이보균)는 지난 1월 22일 대전 광역시 유성호텔에서 카길사료 축우전문 영업조직과 함께 “카길 축우 스쿨”을 개최하였다. 카길사료 축우기술 및 마케팅담당감동근 박사는 2014년 국내외 축우시장을 돌아보고, 2015년 낙농과 비육시장의 예측과 고객과 함께하는성장전략을 소개하였다.낙농의 경우 “잉여원유 등의 문제로 목장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초심으로 돌아가 착유우군의 정예화와 정밀한 사양관리를 통해 목장 수익성을 높이고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어서, FTA등 불안한 외부환경으로 인한 비육시장의 현실을 강조하며, 글로벌 한우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한우 성장 모델’을 소개하며,접목 육성구간에 대한 신규 프로그램과 한우목장진단체크리스트를 선보였다. 또한 국내 육우시장의 새로운 변화를 예측하고, 접목 시킬 수 있는 카길의 글로벌 연구기술 결과인 ‘성장모델 및 고급육 발현 기술’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육우 목장의 수익성 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여 큰 호응을 얻었다.마지막으로 마케팅서비스커뮤니케이션담당 강화순 박사는FMD 등 질병상황에 대한 카길의 방역체계와고객과 함께지켜야 할 기본 활동 원칙에 대해 교육을 실시하였
카길사료(대표 이보균)는 지난 6일 대전 광역시 유성호텔에서 전국의 카길사료 영업조직이 모여 “카길 축우 스쿨”을 개최하였다. 안대봉 카길사료 축우마케팅 이사는 2014년 축우시장 상황과 전략을 소개하며 “고객의 수익성을 높이고 함께 성장하는 것이 축우 시장에서 카길사료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길이다. 특히 강건한 육성우는 목장의 미래”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낙농 육성우 사양관리를 손쉽게 해 주는 ‘히포미터’(Hipometer) 서비스 도구를 선보였다. 이 서비스도구는 골반뼈의 폭으로 손쉽게 육성우의 체중을 측정하여, 성장을 모니터링하고, 단계별 영양소 공급을 통해 목장의 미래를 책임질 강건한 육성우를 생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어서 감동근 박사(카길사료 축우기술담당)는 지난 1월 카길 축우 캠페인에 소개되었던 ‘한우설화 거세우 전용 사료와 프로그램’에 접목 시킬 수 있는 ‘한우 성장 모델’을 소개하였다. 높은 육질 등급과 생후 28개월 430kg의 도체중을 추구하기 위해 육성기에 ‘알티블루’와 같은 양질 조사료 급여와 전체 급여 프로그램 준수가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여름철 착유우의 생산성 하락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솔비타-D’를 소개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