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AI 방역체계 개선방안 마련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이하 농식품부)는 14일 지난 1월 16일 전북 고창에서 최초로 발병하여 18개 시·군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AI에 대응한「AI 방역체계 개선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이번 AI 발생경과 및 특성을 살펴보면, 지난 1월 16일 전북 고창에서 최초 발생한 이래 현재까지 18개 시·군에서 총 29건이 발생하였다.이번 바이러스는 과거 네 차례의 AI(H5N1)와는 다른 새로운 바이러스(H5N8형)로 전파속도가 느리고 바이러스 배출량이 많은 특징이 있고, 특히, 방역 여건이 취약한 비닐하우스에서 오리를 사육하는 농가를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발생하여 발생기간이 191일(‘14.1.16~7.25)로 장기화되었다.정부는 AI 방역을 위해 ‘범정부 AI 대책본부’를 운영하였으며, 공무원, 군경 등 약 59만명의 인력이 동원되어 전국 720여 곳에 이동통제초소가 설치·운영되었으며,일시이동중지(standstill)를 발령하여 농가간 수평전파를 최소화하고, 축산농가와 관련 차량이 등록된 전산시스템을 활용하여 신속히 역학농가를 파악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였다.또한, 가금 농가에 대한 보상방식도 정부 수매 대신 민간자율 비축을 유도하여 수급 왜곡 및 재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