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퇴행성관절염은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의 약 80%에서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무릎 퇴행성관절염은 무릎관절의 뼈연골이 노화와 같은 원인들로 인해 점차 손상되는 질환이다. 뼈를 보호하고 있는 뼈연골이 손상되면 뼈끼리 서로 충돌하여 통증 및 염증이 나타나고, 다리의 모양도 변형될 수 있다.
특히 노화가 진행되는 중년 이후부터는 관절에 영양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증상이 가속될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질환 초기에 적극적으로 치료하면 비수술적 치료만으로 증상 개선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증상이 악화된 중기 및 말기의 무릎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은 조직의 손상이 심해서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는 호전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뼈연골의 손상이 심하다면 조직을 재생시키는 미세천공술이나 줄기세포 카티스템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적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질환을 오래 방치하여 무릎뼈에도 손상이 생겼다면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상범 원장은 “무릎인공관절수술은 뼈끝에 남아있는 뼈연골을 모두 제거한 후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방식으로써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손상된 관절의 일부분만 대체하거나 전체를 대체하는 방식으로 나뉜다. 무릎인공관절수술 후에는 체계적인 재활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한다”고 전했다.
수술 후에는 초기 6주의 재활이 중요하다. 이때에는 보행 능력 회복을 위한 다리 근력 강화 운동에 집중하고, 유연성 및 균형감각을 높이기 위한 운동을 진행해야 한다. 또한 관절가동 범위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
무릎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 발목 및 허리 재활도 함께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환자의 상태와 재활 과정에 따라 차이는 나타나지만 대체로 무릎 인공관절수술 후 6개월이 지나면 일상생활이 가능해진다.